본문 바로가기
업무

[ 서류 ] 상가 확정 일자 받기

by Gnote 2024. 7. 12.
반응형

 

상가 확정일자 받는 이유

 

상가계약 확정일자는 임대차계약서의 존재 사실을 인정하여 관할 세무서장이 임대차계약서에 기입한 날짜를 말합니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상가임차인은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아두어야만

법에 의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필요서류(개인)

- 확정일자 신청서 ( 작성 )

- 임대차계약서 원본

- 사업자등록증 ( 없을 경우 사업자등록증 신청하면서 진행 )

- 영업신고증 (있을 경우)

- 도면 ( 등기표시된 일부분만 임차했을 경우 )

- 신분증

- 인감도장 

- 인감증명서

 

필요서류(법인)

- 확정일자 신청서 (작성)

- 임대차계약서 원본

- 사업자등록증 

- 영업신고증 ( 있을 경우 )

- 도면 ( 등기표시된 일부분만 임차했을 경우 )

- 대표자 신분증

- 법인 등기부 등본

- 법인 인감 증명서

- 법인 인감 도장

 

** 대리인 방문 시 **

- 대리인 신분증

- 확정일자 신청서 작성 시 위임인란 서명 후 날인

 

 

주의 사항

1. 확정 일자 신청하는 날 기준으로 확정일자가 작성되기 때문에 추후 문제 방지를 위하여

미리 받는 것을 권장.

2. 법인의 경우 지점을 [ 종된 사업장 ]으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본점 소재지의 관할 세무서에서 확정일자를 받아야 함.

 

** 별도 사업자등록 하는 경우는 아님 **

 

ex) 본점소재지 강남 서초구 / 새로 오픈하는 지점 경기도 하남시 일 때,

 종된 사업자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서초세무서에서 확정일자를 받아야 함.

반응형